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3

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4월 7일부터 모집 시작 보건복지부는 2020년 4월 7일(화)부터 청년저축계좌 신청과 접수가 시작된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4월 1일부터로 예정되었던 신규모집 기간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 조치에 따라 조정된 것입니다. 청년저축계좌 가입 대상은 만 15∼39세의 일하는 청년 중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주거·교육급여·차상위)인 청년입니다.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2020년 기준중위소득 50% 월 87만8597원 월 149만5990원 월 193만5289원 월 237만4587원 * 최근 3개월(’20.1월∼’20.3월) 동안 청년 본인의 근로·사업 소득이 소액이라도 발생하여야 함 청년이나 그 대리인*은 4월 7일(화)부터 청년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 2020. 3. 30.
「텔레그램 n번방」피해자, 주민등록번호 신속하게 변경 지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는「n번방」피해자로 인지되는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건이 있을 경우 사안의 중대성과 시급성을 감안해 ‘긴급처리 안건’으로 상정해 가급적 3주 이내에 신속하게 심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 법정처리기한은 6개월이며 통상 3개월이 소요됩니다만, 변경위원회는 앞서, 이와 유사한 사건 피해자의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건을 각각 3주, 7주 이내에 변경심사를 완료한 바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는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생명·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입거나,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처럼 주민등록번호 유출로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사람의 경우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주민등록번호 뒤 6자리를 변경해 줍니다. 변경이 결정되면, 위원회는 변경결정서를 관할 시군구에 통보하.. 2020. 3. 26.
서울숲 시민과학단 1기 모집 서울숲공원은 공원에서 식물과 조류를 모니터링하고 자료를 기록하는 봉사활동 ‘꽃 보러 가새’를 함께할 시민과학단 1기를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은 일반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과학 연구의 일부 혹은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과학 활동을 일컫습니다. 이번 시민과학 프로젝트 ‘꽃 보러 가새’는 도시공원에서는 최초로 시도하는 기획으로 시민은 시민지성을 활용해 공원의 운영에 기여하고 공원은 의미 있는 활동과 교육의 기회를 시민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서울숲 시민과학단은 서울숲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기록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봉사활동으로, 3월 중 모집을 통해 4월부터 6월까지 조류 분야와 식물 분야로 나누어 활동할 예정입니다. 조류분야 시민과학단은 공원 내 할당 구역의 인공 새집 사진.. 2020. 3. 16.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 제공 앱·웹서비스 목록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앱과 웹서비스 목록을 안내해 드립니다. 아래 표기된 서비스 업체의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앱 스토어에서 서비스명을 검색하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명 링크 닥톡 Doctalk https://corona.doctalk.co.kr 똑닥 마스크 지도 https://bit.ly/2TCI6q9 코로나비 https://koronavi.com 마스크 스캐너 https://corona.goodoc.kr/ 마스크 실시간 - 마스크 맵 플레이스토어 & 원스토어에서 ‘마스크 실시간 - 마스크 맵' 검색 마스크 알리미 https://cov.dudy.kr 마스크마스크 플레이스토어에서 '마스크마스크'를 검색 마스크사자 http://masksaja.toast.paas-ta.com 마스크.. 2020. 3. 14.
공적 마스크 대리 구매할 때, 전자증명서 활용 방법! 행정안전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공적 마스크를 대리 구매할 때 필요한 주민등록등본을 종이증명서뿐만 아니라 전자증명서 제시로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만 10세 이하 어린이 또는 만 8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는 함께 사는 가족의 대리 구매가 가능한데 이때 ‘정부24’ 어플리케이션(앱) 전자문서지갑에 발급받은 전자 주민등록등본을 제시하여도 됩니다. 이는 공적마스크 대리 구매를 위한 주민등록등본 발급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전자문서지갑에 이미 발급받은 전자 주민등록등본도 활용 가능하도록 하여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전자증명서 서비스는 주민등록등・초본 등 각종 증명서를 전자문서 형태로 발급받아 스마트폰의 전자문서지갑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전자증명서 발급을 원하면 먼저 정부24앱에.. 2020. 3. 14.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제도, 3월 14일부터 시행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제도가 3월 1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제도 시행에 앞서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을 지난 2월 22일에 열고 오늘 합격자를 발표하였습니다. 응시자는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홈페이지(ccmm.kpc.or.kr)에서 합격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치러진 이번 시험은 전국 28개 고사장에서 총 8,837명이 응시하였으며, 이 중 2,928명이 합격(합격률 33%)하였습니다. 응시생의 연령대는 1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였으며, 40대가 2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대(25%), 20대(18%) 순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응시생과 합격생 모두 서울에서 가장 많았으며, 경기, 대전 순이었습니다. 자영업, 회사원, 학생 등 다양한.. 2020. 3. 14.
마스크 요일별 구매 5부제 / 1주당 1인 2매 구매제한 3.9(월)부터 시행 정부가 마스크 공평 보급을 위해 ▲1주당 1인 2매 구매제한 ▲요일별 구매 5부제 ▲중복구매 확인시스템 가동 등 ‘마스크 3대 구매 원칙’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스크를 모든 국민에게 신속·공정하게 배분하기 위해 정부가 생산, 유통, 분배 전과정을 사실상 100% 관리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또한 마스크 생산량 증대와 공적 물량 확대로 약국, 우체국, 농협에서 살 수 있는 마스크 수량이 한달내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납니다. 정부는 5일 임시국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마스크 수급 안정화 대책을 확정했습니다. 3월 9일부터 마스크 구매는 신분증과 구매이력 확인 후 판매하는 중복구매 확인 시스템을 가동해 1주일에 1인당 2매로 제한됩니다.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마스크 구매 요일별 5부제를 적용.. 2020. 3. 9.
4대궁‧종묘, 조선왕릉 설 연휴 휴무일 없이 무료개방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인 설을 맞이하여 연휴기간(1월 24일~27일 4일간)에 전 국민을 대상으로 4대궁‧종묘, 조선왕릉을 휴무일 없이 무료개방(창덕궁 후원만 제외)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평소 예약제로 운영되는 종묘도 연휴기간에는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경복궁에서는 연휴 첫날인 1월 25일(음력 1.1.)에 새해를 기념하여 오후 2시 수문장 교대의식을 마친 후에 불화장(국가무형문화재 제118호) 전수교육조교가 그린 수문장과 종사관 그림을 나누는 ‘2020 세화(歲) 나눔’ 특별 행사를 진행됩니다. ‘세화’란 새해 첫날 세시풍속으로 경복궁을 지키는 수문장과 종사관을 그린 세화는 내 가족의 안녕을 지켜주는 행운의 부적과 같은 의미를 지녀 관람객들에게 뜻깊은 선물이 될 .. 2020. 1. 22.
한국민속촌에서 정월맞이 세시풍속 행사 ‘새해야 이리오너라’ 개최 전통문화 테마파크 한국민속촌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설날을 맞아 명절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는 세시풍속 행사를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설 연휴 첫날인 1월 24일부터 시작하는 이번 행사는 연휴 기간 내내 쉼 없이 진행됩니다. 매일 오전 11시 40분 열리는 지신밟기는 설 행사의 시작을 알리는 메인 이벤트입니다. 지신밟기는 집터에 머물러 있는 지신을 달래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액운과 잡귀를 물리치는 전통 의식입니다. 농악단의 경쾌한 농악놀이에 맞춰 진행되는 의식이 끝나면 고사상에 올랐던 떡과 막걸리를 나눠 먹는 무료 음복행사도 이어집니다. 새해를 시작하는 설날인 만큼 한 해의 복을 빌어보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조선시대에 새해를 축하하는 뜻으로 임금이 신하에게 내려 주던 그림인 세화를 직접 만들어보.. 2020. 1. 16.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연말연시 유포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0000.00.00)”라는 제목의 해킹메일을 열람하지 말고 바로 삭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해킹메일은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라는 제목으로 발송자는 가상의 인물과 조사통지 날짜 등을 변경해 가며 조사통지 공문인 것처럼 가장하고 있습니다. 공정위 사칭메일에 현혹되어 메일의 첨부파일을 열람하게 되면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금전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특히 주의하여야 합니다. 공정위는 법위반행위 조사와 관련된 조사공문을 이메일로 발송하지 않으며, 조사현장에서 공무원증 제시와 함께 서면으로 전달합니다. 이메일 등 온라인상으로는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 등의 조사공문을 통지하지 않고 있으니, 유사한 메일 수신시.. 2020. 1. 8.